이슈플래닛 (Issue Planet)

이란·이스라엘 간 공습 사태- 우리 정부 대응

sollomoon 2025. 6. 13. 16:32
728x90
SMALL

 

1.  사태 개요

  • 6월 13일 새벽(이스라엘 현지), 이스라엘군은 **“작전 라이징 라이온(Operation Rising Lion)”**이라는 이름으로 이란 전역의 핵·미사일 시설 및 군사 기지, 고위 인사들을 집중 공습했습니다.
  • 공습 규모는 약 200대의 전투기 출격, 드론 및 미사일 폭격 포함이며, 혁명수비대 사령관 호세인 살라미와 이란군 총참모장 모하마드 바게리를 포함한 핵 과학자 다수 사망 보고가 있음.
  • 이란은 곧바로 100여 대의 샤헤드(Shahhed) 드론을 이스라엘 방향으로 발사해 요르단 및 이스라엘 방공망에 상당 부분이 요격됨.

2. 우리 정부의 대응

  • 외교부는 “현재까지 한국 교민 피해는 없다”고 확인했으며, “사태 동향을 예의주시, 긴장 완화를 촉구”한다는 입장을 공식 발표
  • 외교부 차관 주재로 재외국민보호 대책회의 진행 중
  • 기획재정부·산업부·금융위·한은 등으로 구성된 비상대응반도 가동, 유가 급등 대비 및 금융시장 변동성 점검·대응 강화 지시
    • “에너지 수급 차질 방지”, “과도한 시장 변동 시 즉각 조치” 강조

3. 현지 상황

  • 테헤란 등 주요 도시 곳곳에서 폭발음, 연기와 화재 발생, 주거지역도 타격 사례 보도.
  • 민간인 다수 희생, 특히 여성·아동 포함 사상자가 다수 확인됨.
  • 이란 당국은 비상사태 선포, 국영방송 검열 강화, 여기저기서 현지민들의 불안감↑
  • 글로벌 항공 운항은 이란, 이라크, 요르단 지역 공역 전면 폐쇄 상태.
  •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나탄즈 시설 인근 방사능 수치는 “정상”이라고 밝혔지만, 방사능 누출 가능성은 계속 주시 중.

4. 현지 교민의 대책

  • 이란에 체류 중인 한국 교민 약 100명은 휴대전화, SNS 공관 알림을 통해 비상연락망 안내를 받고 있음
  • 교민들에게는 “불필요한 외출 자제”, “대피소 및 안전 경로 사전 숙지”, 한국 공관 긴급 연락 체계 상시 유지 지시가 내려짐.
  • 추가 희생 우려에 대비해, 재외국민 보호 계획 재검토·‘긴급 귀국 지원’ 준비도 같은 회의에서 논의 중.

5. 우리 정부의 향후 대응 방안

  1. 교민 안전 확보 및 정밀 모니터링
    • 재외공관 비상연락 강화, 대피ㆍ귀국 수요에 따른 전세기 준비 검토.
  2. 금융·에너지 시장 불안 대응
    • 기재부·금융위·한은 중심 모니터링→과도 급등·급락 시 ‘컨틴전시 플랜’ 발동외교적 긴장 완화 노력 및 국제 공조
    • 주요 우방국 및 국제기구와 공조해 긴장 고조 방지 촉구.
  3. 사태 심화 대비 내부 대비체계 강화
    • 국무총리 주재 상황점검회의 구성 및 지속 점검.

 마무리 요약

항목 내용

가장 큰 충격 이란 내 고위 군·핵 인사 다수 사망, 민간인 피해 확산
우리 정부 ‘인명 피해 無’, 교민 보호 철저, 시장 대응 비상체제
교민 대응 대피계·비상연락망 강화, 귀국 준비 가능
앞으로 전망 중동 긴장 장기화 가능성, 유가·환율·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우려

아래는 미국 등 주요 국가들의 이번 이란·이스라엘 공습 사태에 대한 반응 요약입니다.

🇺🇸 미국

  • **“미국은 이번 공습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공식 입장. 국무장관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는 이스라엘의 공격을 '일방적(unilateral)'으로 규정하며, 미국이 직접 참여하지 않았음을 강조했고, 미군 기지와 인력 보호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힘
  • 여야 간 반응은 엇갈림. 공화당 의회 지도부는 이스라엘을 강하게 지지하며 “Israel has a right to defend itself”라는 성명을 발표한 반면, 민주당 상원의 잭 리드(Jack Reed) 의원은 “This is a reckless escalation”이라며 우려를 표함 
  • 트럼프 대통령은 공습 직전 이스라엘의 공격 자제를 촉구했으며, “협상 기회가 남아있다”고 언급했었으나, 결과적으로 미국은 공격 직전 비필수 인력 일부를 철수시킨 것으로 알려짐 

🇪🇺 유럽

  • 프랑스·독일·영국 등 주요국은 전반적으로 이번 공습과 긴장 고조를 강하게 우려하고 있음.
    • 프랑스와 독일은 긴장 완화 촉구와 함께, 이스라엘의 자위권 인정과 중동 정세 불안 요소 해소를 동시에 강조 .
    • 영국도 비공식적으로 “양측의 자제”를 촉구하는 분위기 
    • EU 차원의 제재 재개나, 중동 정책 변화 가능성도 언급 중 .

🇦🇺 호주, 뉴질랜드

  • **호주의 외교장관 페니 웡(Penny Wong)**은 “이 사태가 이미 불안정한 중동 정세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며 깊은 우려를 표명 .
  • 뉴질랜드도 국제법 및 인도주의 우려를 이유로 이번 공격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평가 .

🇯🇵 일본

  • 일본 관방장관 하야시 요시마사(Hayashi Yoshimasa)는 “사태 악화를 막기 위해 모든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일본 국민 보호 조치 강화도 언급 

🇮🇴 오만 & 뉴질랜드

  • 오만은 이스라엘의 공격을 명백히 비난하며, 이번 공습이 협상·대화 기반을 더욱 파괴할 것이라고 경고 .

▶ 요약

국가/지역 주요 반응

미국 관여 부인, 이스라엘 방어 지지 vs 일부 경고·우려
유럽 긴장 고조 우려 → 자제·외교 촉구, 제재 가능성
호주·뉴질랜드 중동 불안 심화 우려
일본 외교 노력을 통한 중재와 국민 보호 강조
오만 이스라엘 공습을 강하게 비난, 외교 복원 가능성 지적

이처럼 미국은 공식적으로 관여를 부인하면서도 이스라엘 방어권을 지지하고 있고, 유럽과 아시아 주요국은 긴장 완화와 외교적 해법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긴장이 더욱 고조될 경우 국제사회 전반의 협력, 제재 재개, 외교 회복 노력 등의 움직임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We are not involved’: US distances itself from Israeli strikes on Tehran; warns Iran against retaliation - Times of India

US News: The United States says it was not involved in Israel's recent strikes on Iran. US Secretary of State Marco Rubio warned Iran against attacking America

timesofindia.indiatimes.com

 

 

 

Israel’s strikes on Iran show Trump is unable to restrain Netanyahu as Middle East slips closer to chaos

Critics have said the US decision to retreat from the region has led to a greater likelihood of conflict

www.theguardian.com

 

 

이 사태는 중동 정세를 단번에 고조시키며 국제 유가 및 금융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교민 안전 확보, 시장 안정, 국제 협력에 주력하며, 궁극적으로 사태가 긴장 완화의 길로 회귀하기를 지속 촉구 중입니다.

 

728x90
LIST